내가 가진 주택이나 상가를 철거 하고 싶은데 막상 철거 업체를 알아보려니 온라인 상으로는 찾기가 힘들어
내가 알고 있는 부동산이나 다른 건설관련 업체에 문의 하시는 경우가 많을 것으로 생각됩니다.
하지만 이러한 한 다리 두 다리 건너의 구조에서는 소개료 명목으로 공사비 총액이 점점 빠지게 되어
결국 부실시공에 이르게 되는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.
예를 들어 총 철거 공사 비용이 1000만원이라 가정했을 경우 앞서 설명드렸던 부동산이나 건설관련 업체에서
소개료 명목으로 200만원 가져가게 되고, 남은 800만원으로 공사를 진행하게 되는 것이죠....
이렇게 공사가 진행 된다면 결국 해당 철거업체는 조금의 마진이라도 더 남기기 위하여
1. 공사 기간을 최대한으로 줄인다. -> 급하게 공사를 한다 -> 사고 위험 상승
2. 장비나 자재를 싸구려를 사용한다. -> 소음, 분진, 진동등으로 민원 발생 -> 공사 중지 -> 피해는 건축주의 몫
3. 인건비를 줄인다. -> 신호수 등 안전요원 부족 -> 인명,재산 사고 및 피해 발생 가능성 증가
이러한 금전적, 법적 피해는 고스란히 건축주가 껴안게 되겠지요.
*철거 업체도 일부 책임을 지지만 업체의 부주의로 인한 피해는 오롯이 건축주의 몫입니다.*
그렇다면 믿을만한 철거업체를 선정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?
1. 숨고,네이버,다음,구글 등 포털사이트나 블로그, 기타 플랫폼 등에서 검색
2. 건설업 등록증(면허) 확인 : 내가 찾아 본 업체가 정식 인가가 되어있는지 확인
업체 선정 후 건설업 등록증 꼭 요청하세요!
**굉장히 중요** 구조물해체,비계공사업 업종이 없다면 불법 철거 업체 입니다.
(1500만원 이하 공사는 개인사업자 철거가능합니다만 큰 회사는 책임의 능력이 더 큽니다.)
3. 2~3곳의 업체를 선정하여 각각 견적을 받아본다.(견적은 무료로 진행해주는 곳이 많습니다.)
4. 너무 저렴하지 않은 한 곳을 선정하여(너무 저렴하다면 사후 추가 정산을 요구 하는 곳이 많음, 계약서 잘 써야함)
철거 방식 및 서류작업 등 세부 사항 협의 후 계약서 작성.
사실 각 지역마다 메이저 철거업체가 있지만 일반 사람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
주변 지인 중 건설회사에 다니는 분이 계신다면 그 사람에게 추천 받는 것이 베스트 일 것 같습니다.(개인적 견해)
가능하다면 1번 방법 보다는 지인을 통해 소개 받는 것이 더 좋지만, 부동산 또는 간접적인 루트로
소개를 받을 경우에는 암묵적인 소개료가 발생하여 앞선 설명처럼 공사의 품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습니다.
대구 경북 지역의 철거를 원하시는 분은 댓글 남겨주시면 제가 아는만큼은 도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👍
'건물 철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체 완료 신고할 때 등기 말소(등기 촉탁) 같이 해봐요! (0) | 2025.04.10 |
---|---|
건축물 해체 신고건 절차에 대하여 (0) | 2025.04.08 |
건축물 철거 신고건 허가건 구분 (0) | 2025.04.07 |
건물 철거 전 준비 사항은 어떤 것이 있을까? (0) | 2025.04.04 |
건축물 철거 간단한 프로세스 (0) | 2025.02.13 |